한국 직급 영어표현 총정리 회사 및 공공기관 직책 영어 번역 가이드

한국 직급 영어표현 총정리: 회사 및 공공기관 직책 영어 번역 가이드 업무상 외국인 파트너와 이메일을 주고받거나, 이력서를 영문으로 작성해야 할 때 가장 혼란스러운 요소 중 하나가 ‘직급’이다.
대리, 과장, 부장 같은 한국형 직급은 영어권 국가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번역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국 직급 영어표현 총정리 회사 및 공공기관 직책 영어 번역 가이드

이 글에서는 한국의 일반 기업과 공무원 조직에서 사용되는 직책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지 정리했다. 실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문장 예시도 함께 소개하므로, 실무자에게 유용한 실전 자료가 될 것이다.

1. 한국 기업의 전통적인 직급 체계 이해

직책을 영어로 번역하기에 앞서, 먼저 한국의 일반적인 기업 내 직급 구조를 살펴보자.
한국에서는 상위직에서 하위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직급이 구성된다.

  • 회장 → 부회장 → 사장 → 부사장 → 전무 → 이사 → 실장 → 팀장 → 부장 → 차장 → 과장 → 대리 → 주임 → 사원 → 인턴

회사 규모에 따라 일부 직급이 생략되거나, 반대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수평 조직을 지향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면서 ‘호칭제’로 대체되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IT 스타트업이나 외국계 기업에서는 ‘Manager’, ‘Lead’, ‘Head’ 정도만 사용하며, 역할 중심의 직함 체계를 선호한다.

2. 한국 회사 직책의 영어 표현 대응표

아래는 대표적인 직책에 대한 일반적인 영어 표현 매칭이다. 참고로, 미국식, 영국식, 그리고 업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쓰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자.

한국 직급영어 번역 예시
사장, 대표이사CEO, President
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
전무Senior Executive Director
상무Executive Director, General Manager
이사Director, Associate Executive
부장Senior Manager, Head of Department
차장Associate Director, Frontline Manager
과장Manager
대리Assistant Manager
주임Associate
사원Staff, Analyst, Member
인턴Intern

사무직이나 전문직에서는 위 외에도 ‘Consultant’, ‘Coordinator’, ‘Engineer’, ‘Planner’ 같은 역할 기반 직함도 자주 사용된다.

3. C-레벨(최고책임자) 직책 용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C-Level 직책은 표준화된 표현으로 자주 활용된다.

  • CEO: 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경영자)
  • COO: Chief Operating Officer (최고운영책임자)
  • CFO: Chief Financial Officer (최고재무책임자)
  • CTO: 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기술책임자)
  • CMO: Chief Marketing Officer (최고마케팅책임자)
  • CHRO: Chief Human Resources Officer (인사담당임원)
  • CSO: Chief Strategy Officer (전략기획임원)
  • CIO: Chief Information Officer (정보관리 책임자)

국내 기업도 점차 이러한 직책 체계를 도입하고 있으며, 명함이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시 활용도가 높다.

4. 실무 활용 예문

아래는 직책을 영어로 표현하는 실제 업무상 예시다.

  • “She was recently appointed as the General Manager of the division.”
  • “Could you schedule a meeting with Vice President Lee next week?”
  • “I’m currently working as a Senior Manager in the Planning Department.”
  • “As the Director of HR, he oversees recruitment and policy.”
  • “We hired a new intern for the summer program.”

직급을 정확히 모를 경우에는 이름 앞에 Mr./Ms. 또는 Dr./Prof. 등으로 존칭을 사용하고, 차후 관계가 가까워질수록 퍼스트네임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5. 한국 공무원 직급의 영어 번역

공공기관 및 정부 부처 소속 공무원의 직급은 일반적으로 ‘X급 공무원’으로 표현되며, 해당 계급과 직렬을 고려해 번역해야 한다.

한국 공무원 직급영어 표현
1~3급 고위공무원Senior Executive
4~5급Director, Deputy Director
6~7급Assistant Director, Manager
8~9급Clerk, Staff, Assistant
장관Minister
차관Vice Minister
청장, 처장Administrator, Commissioner
과장Director
팀장Head of Team
실장, 본부장General Director, Department Head

해외 파견 외교관의 경우, 외무부 기준에 따라 ‘First Secretary’, ‘Second Secretary’ 등으로 직위를 표시한다.

6. 직급 영어표현 관련 실무 팁

  1. 정중한 첫 표현은 직책보다 이름 + 호칭으로 시작하는 것이 무난하다.
  2. 명함이나 프로필에 들어가는 직책은 직무 중심 표현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링크드인 등 글로벌 커리어 플랫폼에서는 ‘직급’보다 ‘역할’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이 검색 효율에 좋다.
  4. 회사 내부 호칭과 공식 문서상의 직책은 다를 수 있으므로 문맥에 맞게 판단해야 한다.

7. 참고 자료 및 유용한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