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진 증상과 치료방법 전염 되나요?

돌발진 증상과 치료방법 전염 되나요?

돌발진 증상은 특징이 없습니다. 그래서 소아과에 방문해도 열이 나는 것 이외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특별한 진료를 할 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병원에서 할 수 있는 건 아기 컨디션이 처지지 않게 잘 돌봐주는 일 밖에 없다고 할 것입니다. 열이 떨어지지 않고 5일 이상 지속되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많이 걱정을 합니다. 혹시 다른 질병이 있는 게 아닐까 고민을 많이 하지만 대게는 고열 증상만 있고 다른 증상은 없기 때문에 집에서 잘 먹고 잘 쉬는 게 가장 최고의 치료입니다.

돌발진 증상

아기 돌발진 증상은 한밤에 아기가 미열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집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약국에서 구입한 해열제를 3번 복용했지만, 해열이 잠시 지속되었다가 다시 열이 올랐습니다.

아기가 잘 먹지도 않고 축쳐진 느낌이 있어서 소아과에 방문해 진료를 봤고 바이러스 검사를 해봤지만 열이 나는 것 이외에 다른 증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해열제만 처방 받고 다시 집에 와서 아이를 돌보고 있는데 열이 3일 동안 떨어지지 않아서 다시 소아과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 보니 목에 염증이 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마도 구내염이나 수족구 증상이 온 것 같다고 다시 검사를 받았습니다. 아마도 돌발진과 수족구 증상이 같이 와서 해열제랑 항상제를 같이 복용했습니다.

4일차에 열이 점점 떨어지면서 다시 열이 나기 시작하는 텀이 길어지기 시작하더니 5일차에는 열이 더 이상 나지 않았습니다.

그후에 엉덩이 발쪽에 피부 발진이 일어났는데 소아과에서 이 발진은 특별한 증상이 있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니 그냥 놔두면 자연적으로 낫는다고 했습니다.

돌발진 치료방법

아기 돌발진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이 딱히 없습니다. 정말 특수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 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아기가 잘먹고 잘자게 컨디션을 유지 해주는 방법뿐 입니다.

그런데 아기가 돌발진 전에 다른 질병으로 열성 경련의 병력이 있다면 해열제를 먹이거나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해열제 주사를 맞을수 있습니다.

돌발진때 아기가 잘 먹지 않는다면 시원한 주스나 아이스크림 먹여도 괜찮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기가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소변량이 평소보다 줄어 들면 안됩니다.

만약에 아기가 평소에 소변을 보는양보다 돌발진때 소변을 보는양이 많이 줄었다면 소아과에 입원을해 링거를 맞으면서 경과를 지켜 봐야 할수도 있습니다.

고열이 계속 지속 되면 해열 주사를 맞을수 있습니다. 해열 주사는 고열을 치료하고 체온을 정상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 보통 응급실에서 아기 환자에게 주사로 해열제를 투여하는 방법 입니다.

고열은 일반적으로 열화, 감염, 염증 또는 다른 기저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기때문에 고열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체내 기능에 악영향을 줍니다.

  • 구강 투약의 어려움: 소아나 유아 또는 의식이 불명확한 환자의 경우, 구강으로 약을 복용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때 주사를 통해 약물을 직접 투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급성 고열: 신속한 고열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 있습니다. 주사는 구강 복용에 비해 더 빠른 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고열은 체온 조절 기능을 통해 조절 되는데 과도한 열은 빨리 치료 못하면 다른 질병을 얻을수 있습니다.

  • 염증 및 진통 효과: 해열주사에 사용되는 해열제에는 고열 완화뿐만 아니라 염증을 줄이고 진통 효과가 있습니다.

해열 주사는 주로 아세트아미노펜(아세트아미노펜 주사) 또는 이부프로펜(이부프로펜 주사)로 투여 됩니다.

주사는 의료 전문가나 간호사가 실시하며, 피부 내주사 또는 근육 내주사로 투여됩니다. 피하주사는 대개 복부나 대퇴, 상완의 피부 아래로 주입되며, 근육주사는 허벅지 또는 상완의 근육에 주입됩니다.

돌발진 전염 되나요?

돌발진 증상은 대체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처럼 작동하는 바이러스, 에프스타인-바르 바이러스 (EBV),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바이러스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돌발진은 전염이 되자 않습니다. 돌발진 자체가 전염성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진이 나타나는 환자가 다른 아기를 전염하는 경우는 없습니다.